더보기

01. 알고리즘이란?

보통 알고리즘이라는 단어는 다들 한번 이상씩은 들어 보았을것 같습니다.

어떤 프로세스나 절차 등의 의미로도 사용되는 알고리즘(algorithm)은 중세시대에 페르시아에 살았던 알 콰리즈미(Al-Khwarizmi) 이라는 수학학자의 이름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익히 알다시피 "알 콰리즘"이라는 수학자는 "이차방정식"의 풀이법과 "인수분해"를 개발한 수학자로도 유명합니다.

그래서 알 콰리즘이라는 이름에서 유래하여 계산하는 절차의 방식이라는 뜻으로 알고리즘이라는 단어로 지금 쓰이고 있죠 . 이런 유래  괜찮네요 ^^

그래서 알고리즘이란?

'문제를 푸는 방식이나 절차' 라는걸 명심하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어떤 문제가 있으면 그 문제에 대해 '입력'된 정보를 통해 원하는 '답'을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적은 것을 알고리즘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절대값을 구하는 방식에 대한 알고리즘을 구한다면 먼저 '절대값'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할것 입니다.

"절대값" : 절대값은 0부터 그 숫자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값을 말합니다.

|a| 로 표시하고 a의 절대값을 표현하죠

a에 들어가는 실수가 +값 또는 0이면 a값이 절대값이 되고 
a에 들어가는 실수가 -값 이면 (-)를 붙여서 표시하면 됩니다.

이렇게 알고리즘의 성능이나 특징을 분석하는것을 '알고리즘 분석'이라고 하는데 이건 쫌 어려운 수학적 내용이 많이 들어가야 하니 오늘은 알고리즘의 큰틀만 공부하는것으로 하겠습니다 ^^

 

그럼 1차로 현재 절대값 구하기를 해볼까요 ?

파이썬으로 구현해볼꺼니까 일단 파이썬이 깔려있어야 하고 아니면 비쥬얼 스튜디오 코드를 이용해서 파이썬을 확장모듈로 선택해서 깐 다음에 실행해보면 되겠습니다.

입력하고 디버깅하고 나면 아래와 같이 5와 3이 출력 됩니다.

만약 파이썬이나 비쥬얼 코드를 설치하기 어려운 환경이라면 웹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도 있습니다.

https://replit.com/

예제를 입력하고 바로 실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이니 편한대로 알고리즘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아이디로 회원가입하고 몇가지 선택적 물음에 답을 하면 됩니다. 관심있는 언어를 몇개 선택하고 그중 파이썬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바로 파이썬을 실행할 수 있는 도구가 생깁니다. 이 도구를 통해서 해당하는 알고리즘을 학습해 봅니다.

회원가입이 되면 연습한 파일들도 저장이 가능하니까 회원가입 빠르게 하시고 공부하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유튜브 강좌도 좋지만 한번에 후다닥 지나가서 도통 머리에 들어오지 않아서 결국 블로그에 다시 담는걸로 바꿨습니다.^^

좋은 경험이셨길~~ 알고리즘 이야기는 계속 쭈욱 갑니다.

http://www.keduit.com

 

우수 직업전문학교 한국정보교육원

국비지원,교육비 전액무료,우수훈련기관 한국정보교육원

www.keduit.com

 

 

요즘 클라우드가 많이 뜨고 있죠?

다들 클라우드하면 AWS만 생각하는데 물론 AWS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건 사실입니다. 아마존의 서비스 스타트가 다른 기업들의 클라우드 사업에 불을 확~ 지른건 사실이구요 .

하지만 오늘은 Azure를 한번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Azure는 인프라가 좋은 클라우드 서비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면 이미 여러분들도 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의 소프트웨어를 만나고 있기 때문이죠 ~ 

여러분도 오피스365라든지 SQL이라든지 그리고 컴퓨터 켜면 매일 만나는 윈도우라는 플랫폼이 바로 그 베이스라는 거죠~

출처 : https://azure.microsoft.com/ko-kr/overview/

Azure는 그래서 누구나 이용하고 있는 접근하기 쉬운 UI와 플랫폼 서비스를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그래서 점점 더 인기가 많아지는 요소이기도 하구요.

특히 Azure는 가용 영역대신 동일센터 내 가용셋 이중화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네요.

그리고 Azure는 글러벌 리전을 최대 보유하고 있어서 140개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Azure Backup, Azure Site Recovery 및 Azure SQL Database와 같은 서비스를 온-프레미스에 통합해 구성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Azure Stack 소프트웨어를 통해 고객이 선택한 위치의 하드웨어에서 Azure핵심 API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니 장점이 많은 CSP라고 할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기반 사용자들은 익숙한 포맷의 플랫폼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감이 뛰어나다는 장점으로 데이터 분석플랫폼의 경우만 보더라도 Ms-SQL 기반의 Azure SQL기능을 중심으로 MS의 GUI에 익숙한 사람들은 편리하기도 하고 접근이 쉽다는 잇점이 있네요 ~

그리고 AI/ML 플랫폼 영역에서 On-Premise운영 지원이 가능한 편리함은 덤이라고 합니다.

On-Premise가 뭐냐구요?

On-Premise(온 프레미스)는 기업의 서버를 클라우드와 같은 원격환경이 아닌 자체 로컬안에 서버를 직접 설치하고 운영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기존의 서버는 온프레미스 환경이었지만 지금은 점차 클라우드로 많이 이동햇고 이동하고 있는 중이죠 ~~~

Azure의 장점

Azure의 장점은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1. 하이브리드 (Hybrid) 구성이 가능하다.

Azure는 MicroSoft 서비스이기 때문에 Window Server등의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제품과 친화성이 높다
따라서, 현재 사용중인 환경과 원활한 공유 및 전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크다.

2. 오픈 플랫폼으로 다양한 OS와 DB언어에 대응이 가능하다.

Azure는 Window이외의 서브와 애플리케이션의 이용도 가능하다. 
Linux등의 오픈소스와 오라클(Oracle)등의 제품에 대응이 가능하고
NET. PHP, Java, Node.js , Python, Ruby등의 개발언어나 다양한 개발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3. 전방위적 글로벌 데이터 센터

Azure는 많은 지역으로 데이터센터(DC)가 늘고 있으므로 더많은 리전으로 늘어날것으로 생각된다.

오늘은 여기까지만 다음엔 자격증을 알아볼까????

클라우드를 배우고 싶다면 지금이 찬스~ 한번 가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