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드프레스의 장점

  • 모바일, PC, 태블릿에 최적화된 반응형 웹
  • 웹 접근성 (Web Accessibility)
  • 무료 플러그인의 사용으로 인한 저렴한 제작 비용
  • 쉽고 빠르게 홈페이지 제작가능
  • 수많은 테마 및 플러그인 제공
  • 강력한 SNS연동 서비스
  • 쉬운 유지보수 (HTML, CSS, PHP를 모르는 일반인도 가능)
  • 검색엔지 최적화(SEO : Search Engine Optimization) : 구글 검색엔진에 최적화

 

 

2. 드프레스의 단점

  • 기본틀을 벗어난 튜닝은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효과를 노린다면 어렵다.
  • 언어의 제약이 있음. 영어권이 아닌경우 정확한 메뉴얼이나 지침은 구글링
  • 100% 무료가 아닌점(호스팅을 해야하니까...)
  • 다양한 플러그인의 사용에 대한 충돌 (플러그인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에 비해 많은 플러그인으로 인한 느려짐과 충돌성)
  • 워드프레스 로딩 속도 느려짐(다양한 이미지와 플러그인의 사용으로 전체적인 웹페이지 속도가 느려짐을 경험할 수 있다)

 

 

[설치형 워드프레스 한국어 사이트 : http://ko.wordpress.org/]

 

가입형 워드 프레스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하면 블로그 무료 개설 됩니다. 특별하게 뭔가를 튜닝해야하는 부담이 없는 국내의 네이버 블로그와 티스토리와 비슷한거죠. 즉, 제공되는 콘텐츠만 사용할 수 있는 대신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서 좋구요 다만 아이디로 가입하면 해당  도메인 사이트 주소뒤에 Wordpress.com이 붙습니다.

'HTML5웹표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드프레스 창시자 매튜 뮬렌웨그 방한기 정리  (0) 2015.08.08
Wordpress 이해하기  (0) 2015.08.08
HTML의 변천과 웹 접근성  (0) 2014.06.09

1. Wordpress는 뭘까?

워드프레스(Wordpress)는 오픈소스 기반의 빠르게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제작할 수 있는 CMS(Contents Manage System) 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로 치자면 제로보드나 XE같은 종류라고 할까요?

 

이게 미쿡에서 만들어 지다 보니 주로 미국언어인 영문으로 제작되는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그래서 처음 접근할때는 영문으로만 되어 있어서 많이 낯설었습니다.

 

워드프레스 외에도 CMS의 종류에는 줌라(Joomla), 드루팔(Drupal), 마젠토(Magento), 스퀘어스페이스(Squarespace)등 다른 CMS도 많이 있답니다.

 

이중 전체 CMS중 워드프레스가 61.1%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고 줌라는 2위에 랭크되어 있답니다.

드루팔은 시장 점유율 3위에 있구요.


줌라로 제작된 사이트로는 우리가 알수있는 사이트 중에 시티은행, 하버드 대학교가 있답니다.

 

http://www.citibank.com

 

 

 

http://www.harvard.edu

 

 


드루팔로 제작된 사이트로는 미국 백악관, 국내 전쟁기념관(요거 울나라 껍니다.)

 

https://www.warmemo.or.kr

 

하지만 드루팔과 줌라는 국내제작사례는 적은편입니다. 아무래도 드루팔과 줌라에 관련된 기술문서가 영어로 되어 있고 워드프레스보다 복잡하고 개발자환경이다 보니  그런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국내 토종 CMS로는 XE, 그누보드, 텍스트큐브, 킴스큐 등이 있구요.
XE와 제로보드느4는 별개로 개발된 CMS입니다.

 

2. Wordpress 기본정보

워드프레스는 2014년 11월에 워드프레스 4.0이 출시되면서 다국어를 지원하게 되었고 특히 한국어도 지원하게 되었답니다.

 

워드프레스를 사용할때 사용하는 사이트로는 크게 2개로 나뉘어 지거든요. 둘중에 하나를 사용하는 거죠.

 

Wordpress.com : 가입형 서비스 제공
Wordpress.org : 설치형 서비스 제공

 

 그럼 우린 어떤걸 사용해야 할까요???

 

단순 블로그 운영을 원한다면 크게 공부할 필요없는 가입형 서비스를 이용하시구요.
기업형에 해당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어야 한다면 다양한 테마와 플러그인사용자는 설치형 서비스 이용하도록 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